[비교공감 제2025-15호] [액션카메라 품질비교 결과]
여행·브이로그 필수품 '액션카메라', 제품별 주요 성능차이 커요
이에 한국소비자원(원장 윤수현)이 액션카메라 주요 브랜드 6개 제품의 품질(영상 품질·영상 저장성능·배터리 성능·내환경 성능 등)과 안전성(유해물질·온도 상승·배터리 안전성)을 시험평가했다.
개인의 일상과 여행, 스포츠⋅레저 활동 등의 순간을 촬영하기 위한 액션카메라의 수요가 늘고 있으나 소비자의 구매 결정에 도움이 되는 제품 간 품질비교 정보는 부족한 실정이다.
시험평가 결과, 화질·흔들림 안정성·최대 사용시간 등 주요 성능에서 제품 간 차이가 있었고 일부 제품은 최대 화각·방수 성능이 표시·광고 내용과 달라 개선이 필요했다.
어떤 제품을 비교했나?
소비자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6개 브랜드의 박스형 제품 6개 선정
※ 소비자 설문조사 : 최근 3년 내 액션카메라 구매⋅사용 경험이 있는 소비자 500명 대상(한국소비자원, ’25. 1.)
ㅇ(브랜드) 소비자 보유율(0.6% 이상) 상위 6개 브랜드 선정
- 박스형 제품의 비율이 58.0%로 가장 높았음.
- 동일 브랜드 내 다수 모델이 제품 선정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 최신의 고사양 제품을 우선적으로 선정함.
[액체형 세탁세제 시험대상 제품]
브랜드 | 판매원 | 모델명 | 가격[원]* |
---|---|---|---|
고프로 (GoPro) |
㈜샤랩 | 히어로13 블랙 (HERO13 Black) |
519,000 |
디제이아이 (DJI) |
게이트비젼㈜ | 오즈모 액션5 프로 (Osmo Action5 Pro) |
509,000** |
인스타360 (Insta360) |
㈜민트탭스 | 에이스 프로2 (ACE Pro2) |
608,000*** |
유프로 (UPRO) |
㈜상상공간그룹 | 프리미엄2 (Premium2) |
159,000 |
내셔널지오그래픽 (NATIONAL GEOGRAPHIC) |
팅크웨어㈜ | 액션캠 프로 (Actioncam Pro) |
219,000 |
에이스원 (ACEONE) |
㈜국제에이브이 | 엑스프로3 듀얼 (XPRO3 DUAL) |
156,000 |
- 2025년 3월 온라인 공식몰 구입가격
- 스탠더드 콤보 제품의 구입가격
- 듀얼 배터리 표준 번들 제품의 구입가격
시험 항목과 방법은 무엇인가?
□ 소비자 설문조사, 소비자 상담사례 분석 결과, 관련 기준 등을 바탕으로 전문위원회 심의를 거쳐 시험평가 항목 결정
[ 액션카메라 시험평가 항목 및 방법 ]
시험평가 항목 | 시험평가 내용 | 시험평가 방법 | ||
---|---|---|---|---|
품질 | 영상품질 | 화질 | 다이나믹레인지⋅색재현⋅화이트밸런스⋅신호 대 잡음비 (SNR)⋅해상력 등 주요 영상 품질 요소에 대한 종합 평가 |
관련 표준주1) 준용 |
흔들림 안정성 | 다양한 활동 조건(걷기⋅뛰기)에서 흔들림 안정화 기능의 성능 확인 |
확인시험 | ||
화각 | 제품에 표시⋅광고된 최대 화각 검증 | |||
프레임 레이트 | 제품 설정값 대비 실제 촬영 시 저장되는 프레임 레이트(FPS)의 정확성 확인 |
|||
영상 저장 성능 |
녹화 안정성 | 촬영 중 영상 저장 누락⋅시스템 오류 발생 여부 확인 | ||
메모리 사용량 | 촬영된 영상의 실제 메모리 사용량 측정 | |||
스마트폰 영상 전송속도 |
촬영된 영상을 스마트폰 앱으로 무선 전송 시 소요되는 시간 측정 |
|||
배터리 성능 |
최대 촬영시간 | 연속 촬영 가능한 최대 시간 확인 | ||
충전 시간 | 완전 방전 후 완전 충전까지의 소요 시간 확인 | |||
부팅 시간 | 전원을 켠 후 촬영 대기 상태까지의 소요 시간 확인 | |||
터치 반응 속도 | 디스플레이 터치에 대한 반응 속도 측정 | |||
방수 성능 | 제품에 표시⋅광고된 방수 성능 확인 | KS C IEC 60529주2) 준용 및 확인시험 |
||
내환경 성능 | 제품의 작동온도 범위의 검증과 가혹 환경 (저온동작⋅고온동작⋅고온방치)에서의 이상유무 등 확인 |
KS C 5078주3) 준용 및 확인시험 |
||
안전성 | 배터리 안전성 | 과충전⋅외부단락⋅낙하 등 시험 후 이상 유무 확인 | KC 62133-2주4) | |
유해물질 | 피부 접촉 부위의 유해물질 (프탈레이트계 가소제⋅카드뮴⋅납 등) 함유 여부 확인 |
안전기준 부속서24주5) | ||
온도 상승 | 촬영 중 제품 표면의 최고 온도 확인 | 전기용품 안전기준주6) 준용 |
||
제품 특성 | 제품의 제원(무게⋅크기⋅디스플레이 사양), 보유기능 등 확인 | 확인시험 | ||
표시사항 | 법정 표시사항(안전인증번호⋅전자파적합성인증 등) 확인 | 「전파법」,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 |
- 한국산업표준 KS A ISO 12233(사진-전자식 정지 영상카메라-해상도 측정)
한국산업표준 KS A ISO 14524(사진-전자식 정지 영상 카메라-광전 변환 함수 측정 방법)
한국산업표준 KS A ISO 15739(사진-전자식 정지 영상 카메라-노이즈 측정)
ISO/CIE 11664-5(Colorimetry—Part 5: CIE 1976 L*u*v*Colour Space and u', v' Uniformc hromaticity Scale Diagram)
한국지능형교통체계협회 민간표준 ITSK-00140(악조건 환경의 IP CCTV 카메라)
정부조달물품 표준 규격 MAS 2018-009(영상감시장치) - 한국산업표준 KS C IEC 60529(외함의 밀폐 보호등급 구분(IP코드))
- 한국산업표준 KS C 5078(자동차용 사고영상기록장치)
- 전기용품 안전기준 KC 62133-2(휴대기기용 밀폐 리튬이차전지 안전)
- 생활용품 안전기준 부속서24(합성수지제품)
- 전기용품 안전기준 KC60335-1(가정용 및 이와 유사한 전기기기의 안전성 제1부: 일반 요구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