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공감 제2024-21호] [반려동물 활동공간 탈취제 품질비교 결과]
냄새 원인물질과 제품에 따라 탈취성능에 차이 있어요
최근 반려동물을 키우는 가구가 늘어나면서 반려동물이 생활하는 공간에서 발생하는 냄새를 제거할 수 있는 다양한 탈취제 제품이 판매되고 있다. 이에 한국소비자원(원장 윤수현)이 반려동물 활동공간 탈취제 9개 제품의 탈취성능 등 품질과 안전성, 환경성 등을 시험 평가했다.
시험 결과, 반려동물의 배설물, 사료 등으로부터 유래하는 냄새에 대한 탈취성능은 냄새의 원인물질과 제품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대다수 제품은 소변 냄새(암모니아) 탈취성능이 대변 냄새(황화수소)에 비해 상대적으로 우수했다. 또한 사료에서 유래하는 생선 비린내(트리메틸아민) 탈취성능이 사료 부패 시 발생하는 냄새(메틸머캅탄)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해물질과 알레르기물질은 전 제품이 관련 기준에 적합했으며, 용량 대비 가격은 최대 15.7배 차이가 났다. 한편 일부 제품은 표시항목을 누락하거나 소비자가 오인할 수 있는 용어를 사용해 개선이 필요했다.
어떤 제품을 비교했나?
시중에 유통 중인 반려동물 활동공간 탈취제 스프레이형 9개 제품
ㅇ소비자 설문조사*와 자체 시장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소비자가 주로 사용하는 시험 대상 브랜드 및 제품 선정
- (브랜드) 온라인 쇼핑몰** 등에서 유통 중인 소비자 구매 빈도 상위 9개 브랜드
- (제품) 반려동물의 몸에 직접 사용하는 제품(동물용 의약외품), 의류용 제품을 제외한 브랜드별 반려동물 활동공간 탈취제 스프레이형 총 9개 제품
- 최근 3년 이내 반려동물 활동공간 탈취제를 구입 및 사용한 소비자 대상(1,500명, 한국소비자원, 2024.4.)
- 소비자는 주로 온라인 쇼핑몰(73.5%)에서 제품을 구입하는 것으로 조사됨.
[반려동물 활동공간 탈취제 시험대상 제품]
No. | 브랜드명 | 제품명 | 업체명 | 원산지 | 가격*(원) |
---|---|---|---|---|---|
1 | 고강탈 | 고강탈 | ㈜바이오신화 | 한국 | 9,130 |
2 | 네츄럴코어 | 네츄럴클린 | 네츄럴코어㈜ | 한국 | 7,253 |
3 | 산도깨비 | 반려동물 탈취제 | ㈜산도깨비 | 한국 | 1,500 |
4 | 뽀숑 | 뽀숑 반려동물 탈취제 포근한 낮잠 | 티엠로직스 (세제몰) |
한국 | 7,867 |
5 | 오롯이 | 오롯이 천연탈취제 | ㈜펫프렌즈 | 한국 | 12,000 |
6 | 탐사 | 탐사 반려동물 탈취제(플로랄머스크향) | 씨피엘비어㈜ | 한국 | 2,958 |
7 | 유한락스 | 펫 메스 리무버 | ㈜유한양행 | 한국 | 8,500 |
8 | 펫클린 | 펫클린(허니라벤더향) | ㈜태광유통 | 한국 | 2,673 |
9 | 바잇미 | 프레시미 스프레이 | ㈜바잇미 | 한국 | 15,661 |
※ 제품명 가나다순
- 온라인 가격비교 사이트 및 공식몰 등 조사 가격(2024.6.~8.)
시험 항목과 방법은 무엇인가?
탈취제 상담동향, 소비자 설문조사 결과 및 관련 기준을 바탕으로 시험평가 항목 결정
ㅇ 소비자 상담동향* 조사 결과, 탈취제 관련 품질 상담은 용기 불량, 변질, 탈취 효과 등이 있었으며, 위해 사례로는 부작용, 삼킴, 안구 손상, 외상이 접수됨
- 최근 5년간 1372소비자상담센터 및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를 통해 집계(2019.1.1.~2023.12.31.)했으며, 단순문의 등이 포함되어 피해 사실 등이 확인되지 않은 내용임.
ㅇ 반려동물 활동공간 탈취제에 대해 소비자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항목*은 탈취 성능(47.5%), 안전성(37.3%), 원료‧성분(2.9%), 향(2.7%), 경제성(2.7%) 등의 순이었음.
- 최근 3년 이내 반려동물 활동공간 탈취제를 구입 및 사용한 소비자 대상(1,500명, 한국소비자원, 2024.4.)
[ 반려동물 활동공간 탈취제 시험평가 항목 및 방법 ]
시험 항목 | 시험평가 내용 | 시험방법 및 기준 | ||
---|---|---|---|---|
①품질 | 탈취성능 | 반려동물의 배설물(대‧소변) 등 냄새 원인물질*별 제거 성능 시험
|
환경표지 인증기준 (EL608. 탈취제) 응용 |
|
②안전성 | 유해물질 | 유해물질(폼알데하이드, 메탄올 등) 안전기준 준수 여부 시험 |
안전확인대상 생활화학제품 지정 및 안전 표시기준 (환경부 고시) |
|
용기 강도 및 누수 |
용기의 강도 및 누수 여부 시험 | |||
③환경성 | 포장재 재활용 용이성 |
용기의 재활용 용이성 등급 확인*
|
포장재 재활용 용이성 등급평가 기준 (환경부 고시) |
|
④표시‧광고 | 내용량 | 표시 용량 대비 실제 용량 준수 여부 시험 | 안전확인대상 생활화학제품 지정 및 안전 표시기준 (환경부 고시) |
|
알레르기 물질 |
알레르기물질 표시기준*준수 여부 시
|
|||
표시사항 | 표시사항 표시기준 준수 여부 확인 | |||
광고 내용 | 표시‧광고 효과 및 인증 진위 여부 확인 | 생활화학제품 등의 표시‧광고에 관한 규정 응용 (환경부 고시) |
||
⑤경제성 | 용량 대비 가격 |
100 mL 당 가격 비교 | 가격표시제 실시요령 (산업통상자원부 고시) |